인도네시아어

다르마시스와 준비2 - 대학교와 지역 선택하기 9. 칼리만탄 (사마린다)

J.Dian 2024. 4. 2. 12:38
반응형

칼리만탄 Kalimantan

드디어 다르마시스와 프로그램 참여하는 지역 중 마지막인 칼리만탄섬이다.
(분명 인도네시아에서는 “깔리만탄”이라고 발음했는데 표기는 “칼리만탄”이라고 되어있다.)

칼리만탄을 포함한 다르마시스와 프로그램을 진행 하는 지역은 검은색, 그 이외에 인도네시아의 대표섬중 하나인 파푸아, 대표섬은 아니지만 부족의 규모가 꽤되는 플로레스 섬은 초록색으로 표시

우리에게 보르네오섬으로 알려져 있는 이 섬을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칼리만탄이라고 부른다. 이 섬은 특이하게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3개국이 있다. 이 섬은 인도네시아에서 두 번째로 큰 섬으로 남한의 세 배 크기이다.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부분을 합치면 5배쯤 크다.) 칼리만탄에는 아직도 팜유 농장이 사마린다에서부터 폰티아낙 까지 있을 정도로 크지만 환경오염이 심해 정부에서는 바꾸려고 하는 것 같다. 몇 년 전에는 4 구역으로 행정선이 나뉘었지만 현재는 북부, 동부, 중부, 남부, 서부 5 구역으로 행정선이 나뉘었다.


자와 보다 훨씬 큰 섬이지만 이 섬에서 다르마시스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교는 한 곳 물라와르만 대학교 (운물대학교)이다.

Mulawarman University (UNMUL) Kalimantan Timur 동부 칼리만탄 사마린다에 위치한 국립대학교 – 이 학교는 1962년에 설립된 동부 칼리만탄에서 제일 오래된 학교입니다. 이 학교의 이름은 기원 4~5세기의 최초 힌두 왕국 중 하나에서 따왔으며 인도네시아 상위권 대학 중 하나입니다. 이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봉사활동을 많이 하는데 그중에는 지역 아동들을 보살피고 가르치는 것이 포함됩니다. 이 학교에서 수업을 들으신다면 칼리만탄 각 지방에서 올라온 사람들과 만날 수 있습니다.



다르마시스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대학 포스팅은 여기까지가 끝이다. 아래의 지도를 보고 칼리만탄 각 지역의 특징들을 고려해보겠습니다.


칼리만탄 각 지역 소개  

동부 칼리만탄의 “사마린다”가 현재 칼리만탄의 주도이다. 동부 칼리만탄에는 국립대학교인 Mulawarman대학교를 포함에 다양한 사립대학교와 전문대학교들이 사마린다와 발릭파판에 모여 있으며 이곳의 대학생들은 지역 사회 발전에 힘쓰고 있다. (각 대학에서 동아리를 구성하여 일주일에 한 번씩 자기 동네 어린이들의 글쓰기, 전통문화 등을 교육 또는 쓰레기 줍기 등 자원봉사활동을 한다.) 그에 더해 사마린다, 발릭파판은 산업 중심지여서 다양한 부족들이 이주하여 거주한다.
+ 2020년도에 행정수도를 사마린다 옆 도시인 누산타라로 옮기기 위해 공항을 개설하고 사마린다-발릭파판 사이에 고속도로를 지으며 더 도시다운 모습으로 변하고 있다.

북부 칼리만탄 지역으로 가면 Berau라는 지역이 있는데 이 지역은 인도네시아인들 사이에 알려진 꼭 가봐야 하는 아름다운 장소이다. 우리가 가끔 인터넷에서 해파리와 수영을 하거나 바다거북을 보거나 또는 바다 위에서 오두막 같은 숙소에서 머물고 물이 너무 맑아 배가 공중에 떠 있는 것 같은 사진을 볼 수 있는데 이곳이 그러하다. 내가 갔던 여행지 중에서 정말 아름답고 스노클링을 실컷 즐겼던 기억에 남는, 다시 가고 싶은 곳이라 시간이 되면 이곳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할 예정이다. 그에 더해 타라칸, 누누칸섬 같은 지역들은 말레이시아와 근접하고 있어 이 지역 사람들은 표준 인도네시아어 보다는 말레이시아어를 사용한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

남부 칼리만탄의 주요 도시는 반자르마신이며 이곳에는 오랑우탄 보호구역이 있으며 강에서 배와 배 사이로 시장이 열리는 것을 주로 볼 수 있다 (칼리만탄 마하캄 강 – Sungai mahakam을 따라가면 이 지역 말고도 강 위에서 열리는 시장을 볼 수 있지만 EBS교육 방송에 나왔던 지역이 반자르마신이며 이 지역이 가장 크다.) 이곳에서는 Soto ayam이 맛있다고 하니 들이면 먹어보자.

중앙 칼리만탄의 주요 도시는 팔랑카라야다. 이곳은 무슬림과 개신교 및 가톨릭보다는 토속신앙이 널리 퍼져있다. 특정한 종교가 있다 하더라도 토속신앙을 숭배할 때 사용하는 물품들이 집에 있는 경우가 많다. (보통 무슬림, 개신교는 이 부분에서 예민하지만 이 지역은 자연스러움)  

서부 칼리만탄의 “폰티아낙”은 예전에 칼리만탄의 주도였다. 사마린다, 발릭파판에 공장이 생긱기전까지 제일 큰 도시였다. 이 지역에는 화교가 주로 거주하지만 이들은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하며 중국어를 사용하더라도 한문이 아닌 알파벳(인도네시시아어)으로 표기한다. 이 지역의 화교들을 만나보면 종교가 “유교”인 경우가 많다. 그에 더해 흥미로웠던 점은 요즘 젊은 이들이 자주 입는 현대식 한복을 이 친구들이 단체로 입고 다녀서 물어보니 자기들이 예전부터 입었던 옷이라고 해서 인상에 남았던 곳이다.



이 섬의 대표부족은 다약이며 그들의 종교는 개신교와 토속신앙으로 볼 수 있다. 인도네시아에서다약족은 말레이시아 부분에서는 이반족으로 불리며 이들의 언어가 있지만 다약족의 종류가 너무 많아 그 언어를 특정하기 어려우며 입에서 입으로 전해진 언어이다 보니 책으로 만들었을 때 이해 못 하는 경우가 많다. 그 이외에도 이 섬의 기존 부족으로 말레이시아 부족, 부기스 부족 등 다양하게 있다.

인도네시아 다약과 말레이시아 이반족은 문화를 공유하고 있기에 전통의상, 장신구가 비슷하며 나라가 다르지만 집마다 똑같은 예수의 사진이 걸려 있다. 인도네시아 전통 다약족은 피부가 밝은 색이며 키가 크고 쌍꺼풀이 그렇게 진하지 않다. 숲 속에 사는 다약족은 귀에 큰 링 귀걸이를 하고 있다.

+ 사마린다 지역은 적도에 위치해서 매우 덥지만 주변의 정글로부터 바람이 불어 체감온도는 견딜만합니다.



칼리만탄 이야기도 이 정도로 끝내고 다음 포스팅은 아래와 같다.
1. 칼리만탄에 위치한 Mulawarman 대학교 생활 정보
2. 출국 때까지 인도네시아어 공부 방향
3. 인도네시아에서 1년 동안 거주하기 위한 준비
4. 출국에서부터 OT, 그 후 학교에 도착해서 숙소 및 초기 생활정보
5. 급한 분들을 위한 기본 인도네시아 표현과 현지에서 위급할 때 대처방안



이번 4월 7일 일요일이 다르마시스와 신청 서류 제출일이다. 면접이 4월 8일에서 21일 사이에 진행된다고 하니 메일을 매일 확인하는 습관이 있는 분들에게 유리합니다.



* 일정이 자주 바뀌기도 하지만 메일 받고 며칠뒤에 면접 보는 경우가 자주 일어나기에 면접이라고 표기된 기간 동안은 매일 메일확인과 더불어 다르마시스와 새로운 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



반응형